반응형

다형성 3

JAVA_11_다형성 & 타입 변환

#1 클래스에서의 타입 변환자료형(타입) 변환클래스의 객체 타입 변환: 클래스의 타입 변환은, 상속 관계의 클래스들 간에서만 가능▶ 클래스 자동 타입 변환개발자가 직접 명시해주지 않아도 자동으로 타입 변환이 일어나는 것상속 관계에 있는 자식 클래스의 객체를 부모 타입의 객체로 변환부모 타입으로 변환한 자식 객체는, 부모 클래스에 선언된 멤버(필드, 메서드)만 사용 가능단, 부모 클래스의 메서드를 @오버라이딩한 메서드는 자식 객체의 것을 호출 가능▶ 클래스 강제 타입 변환자식 객체가 부모 타입으로 자동 타입 변환 한 후, 다시 자식 타입으로 변환하는 것개발자가 직접 명시해야만 타입 변환 가능 #2 다형성(polymorphism)▶ 다형성이란?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대표적인 특징 중 하나하나의 타입으로 다양..

개발/Java 2024.07.16

Java에서 instanceof 연산자

instanceof는 Java에서 제공하는 특별한 키워드로, 주어진 객체가 특정 클래스 혹은 그 서브 클래스의 인스턴스인지를 검사할 때 사용합니다. 이 연산자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다형성 개념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습니다. instanceof 연산자란? instanceof 연산자는 주어진 객체가 특정 클래스의 인스턴스이거나 그 서브 클래스의 인스턴스인지를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연산자의 결과는 불리언 형식으로 반환됩니다. 객체가 해당 클래스 혹은 그 서브 클래스의 인스턴스라면 true를 반환하고, 그렇지 않으면 false를 반환합니다.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s = "Hello"; if (s ins..

개발/Java 2023.07.18

Java의 다형성: 캐스팅

자바에서 다형성(Polymorphism)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특징 중 하나로, 동일한 메소드 호출이 다른 행동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이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캐스팅'입니다. 여기서는 자바의 캐스팅에 대해 알아보고, 업캐스팅과 다운캐스팅을 사용한 예시 코드를 제공하겠습니다. 업캐스팅(Upcasting) 먼저, 업캐스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업캐스팅은 부모 타입의 참조 변수로 자식 타입의 객체를 다루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부모 클래스 타입의 변수가 자식 클래스 타입의 객체를 참조할 수 있습니다. class Animal { void eat() { System.out.println("먹는다"); } } class Dog extends Animal { void bark(..

개발/Java 2023.07.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