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 제어문_1
1. 제어문
- 제어문은 실행문의 수행 순서를 변경하는 것
- 조건문, 반복문
- 구성 : 실행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식 & 수행할 실행문
- 수행할 실행문이 여러 개 있으면 중괄호 {} 로 묶기
2. 조건문
- 조건식에 따라서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문법
- 조건식의 true/false 라는 boolean 결과에 따라 어떤 구문을 실행할지 결정
3. if 문
- boolean으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식을 넣을 수 있음
- 조건식이 true이면 중괄호 {} 안의 코드 실행
4. if-else 문
- 만약~라면, A실행 아니면 B를 실행
- 만약, 조건식이 true이면 if 문 안의 수행문을, false이면 else 문 안의 수행문을 실행
if(조건식) {
~~~; // 조건식 true일 때 실행
} else {
~~~; // 조건식 false일 때 실행
}
5. if-else if 문
- 반드시 앞에 있는 조건식들이 false여야만 아래 조건식을 판단
- 만약, 앞선 조건식들이 true일 경우, 아래 조건식은 실행되지 않고 if문 탈출
if(조건식1) {
~~~; // 조건식1 true일 때 실행
} else if(조건식2) {
~~~; // 조건식1 false이고, 조건식2 true일 때 실행
} else {
~~~; // 조건식1,2 모두 false일 때 실행
}
6. switch 문
- '=='으로 비교할 수 있는 하나의 값만 들어갈 수 있음
- break를 사용해 switch문 탈출
- break 키워드가 없으면 조건에 맞는 case를 시작으로 뒤따라오는 모든 case 구문이 모두 실행됨 ;;
switch(변수) {
case 값1 : // 조건1 : 변수가 값1과 같을 때
~~~; // 조건1이 만족할 때 실행
...
break; // 탈출
case 값2 : // 조건2 : 변수가 값2와 같을 때
~~~; // 조건2가 만족할 때 실행
...
break; // 탈출
default : // 조건1,2 모두 만족하지 않을 때
~~~;
#05 제어문_2
1. 반복문
- 동일한 내용의 일을 임의의 횟수만큼 반복 실행
- for 문, whilie 문, do-while 문
2. for 문
- 반복 횟수가 정해져 있을 때 사용
- 조건식이 true일 때까지 지정된 초기값을 증감식을 이용해 증가하거나 감소하면서 반복
- 초기화식 > 조건식 > 실행문 > 증감식 > 조건식 > 실행문 > 증감식 ...
for (초기화식; 조건식; 증감식) {
실행문;
3. 중첩 for 문
- for 문 안에 또 다른 for 문을 사용하는 경우
4. while 문
- 조건식이 true일 경우 무한 반복
- 주어진 조건을 반복할 때까지 반복
while (조건식) {
실행문; // 조건식 true일 때 반복 실행
}
5. do-while 문
- while 문과 같이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반복
- 다만, 처음 실행할 때는 조건과 상관없이 수행되고, 이후부터 조건을 확인하고 만족하면 반복
do {
실행문;
} while (조건식); // 조건식 true면 실행문 실행
6. 기타 제어문
- continue : 뒤에 있는 실행 코드는 수행되지 않고 현재의 반복을 종료하고 반복문의 처음(증감식or조건식)으로 돌아감
- break : 내부의 반복 실행을 종료
#06 배열
1. 배열
1) 정의
- 같은 자료형의 변수를 지정하여 여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공간
- 같은 타입의 데이터를 여러 개 저장할 수 있는 자료 구조
- null 키워드 : 배열을 선언(생성)했지만, 그 안에 값을 담을 공간이 생성되지 않음
2) 선언 & 생성
- 선언 : 자료형[] 변수명; (배열을 다루는 참조 변수를 위한 공간 만들기)
- 생성 : new 자료형[크기]; (저장할 수 있는 공간 만들기)
// 자료형 배열연산자 변수명 = new연산자 자료형 배열크기
int[] arr = new int[4];
arr[0] = 1;
arr[1] = 2;
arr[2] = 3;
arr[3] = 4;
// 배열에 저장될 값을 미리 부여해 선언
// 배열을 최초 선언할 때만 가능
int[] arr = { 1, 2, 3, 4 );
// 배열 선언 후 값을 대입하여 지정하면 오류
int[] arr; // 배열 선언
arr = { 1, 2, 3, 4 }; // 오류
// 재정의 : 이미 선언된 배열을 다시 정의하여 값을 대입
int[] arr; // 배열 선언
arr = new int[] { 1, 2, 3, 4}; // 배열을 재정의
3) 특징
- 배열 선언 시 크기를 지정
- 배열 선언 후 공간의 크기를 늘리거나 삭제할 수 없음
- 지정된 자료형의 값만 저장 가능
+ PLUS
- 일반 변수 : 데이터를 직접 가지는 변수
ex) byte, short, int, double... 기본 데이터 타입을 가지는 변수
- 참조 변수 : 데이터가 위치한 주소값을 가지는 변수, 해당 주소를 통해서 데이터에 접근하여 값을 가져오거나 변경
ex) String, 배열, Collection, 객체(class)
2. 배열의 구조
- 인덱스(Index) : 배열이 지니는 값들의 위치. 0부터 시작
- 배열의 길이 : 배열 변수 이름에 점(.) 연산자 뒤에 length 변수 연결 (변수명.length)
- 배열의 초기값 : 배열으르 선언(생성)했을 때 저장되는 초기값
ex) 정수형 : 0 / 실수형 : 0.0 / 문자형 : ' ' / 객체형 : null
3. Arrays
- 배열을 지원하는 클래스로 배열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메서드)를 제공
- Arrays는 기능을 사용할 때 점(.)을 이용해서 사용할 기능을 호출
- Arrays.toString(변수명) : 배열에 정의된 값들을 문자열 형태(String)로 변환하여 출력해줌
- Arrays.sort(변수명) :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배열을 정렬해줌
4. 다차원 배열
- 다차원 배열 중에서 행렬 구조로 사용되는 2차원 배열이 주로 사용됨
- 2차원 배열의 선언
int[][] arr = new int[크기][크기]; // [행개수][열개수]
int[][] arr = { {1,2}, {3,4}, {5,6} };
5. 향상된 for 문
- JDK 1.5 이후부터 새로운 for문인 향상된 for문 사용 가능
- 배열과 컬렉션의 모든 요소를 참조하기 위한 반복문
1) for 문을 실행할 반복 대상이 있으면 자료형은 반복 대상이 지닌 자료형과 같은 타입으로 지정
2) 반복 대상의 요소를 하나씩 변수에 대입하면서 진행
3) 반복 대상의 길이만큼 꺼내어 반복
for (자료형 변수명 : 반복대상) {
실행코드;
}
'개발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_08_메서드 (0) | 2024.07.15 |
---|---|
JAVA_07_클래스 (0) | 2024.07.15 |
JAVA_01~03_자바 프로그래밍의 기본, 변수와 자료형, 연산자 (0) | 2024.07.15 |
[JavaScript] - for in 문 (0) | 2023.07.21 |
Java의 Wrapper 클래스 (0) | 2023.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