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철 집중호우는 우리의 일상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갑작스러운 호우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사전 대비와 올바른 행동 요령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집중호우 대비를 위한 구체적인 행동 요령을 소개합니다.
- 최신 기상 상황을 자주 확인하세요
TV, 라디오, 인터넷 등을 통해 최신 기상 예보와 호우 상황을 수시로 확인합니다. 기상 상황을 미리 파악하면 신속한 대응이 가능합니다.
- 응급약과 손전등은 필수!
갑작스러운 정전이나 비상 상황에 대비해 응급약과 손전등을 미리 준비해 둡니다. 특히 손전등은 휴대하기 쉬운 크기로 준비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 피난 장소와 비상 연락처를 확인하세요
가까운 대피소와 안전한 고지대를 미리 파악하고, 가족들과 비상 연락처를 공유해 둡니다. 위급 상황 시 신속히 대피할 수 있도록 대피 경로를 숙지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 배수구 점검은 필수!
하수구와 집 주변 배수구를 점검해 물이 원활히 빠질 수 있도록 청소하고 정비합니다. 작은 대비가 큰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 차량은 높은 곳에 주차하세요
하천이나 지하공간에 주차된 차량은 미리 안전한 높은 곳으로 이동시켜 침수를 예방합니다.
- 상습 침수지역에 거주하고 계신가요?
대피 준비를 철저히 합니다. 가족들과 대피 계획을 점검하고, 필요시 신속히 대피할 수 있도록 준비합니다.
- 천둥번개가 발생하면 실내로 대피하세요
실외에 있다면 건물 안이나 낮은 곳으로 대피합니다. 천둥번개는 매우 위험하므로 외부 활동을 자제합니다.
- 산사태 위험 지역은 피하세요
산사태 위험이 있는 지역으로는 절대 가지 않습니다. 이미 위험 지역에 있다면 즉시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 대피 시 주의사항
수도, 가스 밸브, 전기차단기를 내리고 대피합니다. 대피 중에는 전신주나 가로등 근처는 피합니다.
- 침수된 집은 먼저 환기시키세요
침수된 집은 먼저 환기를 시켜 내부 공기를 맑게 합니다. 이후 청소와 복구 작업을 시작합니다.
- 가스와 전기는 안전 점검 후 사용하세요
가스와 전기는 기술자의 안전조사 후에 사용합니다. 섣불리 전기를 사용하다가 2차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음식물 섭취는 신중히
오염된 음식이나 재료는 섭취하지 않습니다. 항상 안전한 음식만을 섭취하도록 주의합니다.
- 붕괴 위험 지역은 피하세요
붕괴 위험이 있는 도로나 제방 쪽으로는 가지 않습니다. 안전이 최우선입니다.
- 넘어진 가로등 및 전선은 신고하세요
국번 없이 123에 신고하여 빠르게 조치받습니다.
- 차량이 침수될 것 같다면?
타이어 높이의 2/3 이상 잠기기 전에 차량을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차량이 이미 침수되어 문이 열리지 않으면 목받침 하단 철재봉을 이용해 유리창을 깨고 대피합니다.
- 지하차도 진입 금지!
침수된 지하차도는 절대 진입하지 않습니다. 이미 진입했다면 차량을 두고 신속히 대피합니다.
- 급류 발생 시 주의사항
급류가 있는 교량에서는 진입하지 말고 우회하거나 안전한 곳에서 대기합니다.
- 반지하주택 및 지하 역사 상가 이용 시
바닥에 물이 조금이라도 차오르거나 하수구가 역류할 시 즉시 대피합니다. 지하에 머물러 있는 것은 매우 위험합니다.
- 지하주차장은 물이 조금이라도 차오르면 즉시 탈출하세요
물이 조금이라도 차오르면 차량을 두고 즉시 탈출합니다. 주차장으로 유수 유입 시 차량 확인을 위해 지하주차장 진입은 금지합니다.
- 지하계단도 안전하지 않습니다
조금이라도 물이 흘러 들어오면 즉시 대피합니다. 대피 시 운동화를 착용하는 것이 용이하며, 신발이 없으면 맨발로라도 대피하고 이동 시 난간을 잡고 이동합니다.
여름철 집중호우는 예기치 못한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사전에 철저한 대비와 행동 요령을 숙지하면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지킬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가족들과 함께 대비 계획을 점검해 보세요! 안전은 언제나 최우선입니다.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강한 수면을 위한 필수 가이드 (0) | 2024.07.15 |
---|---|
보이스피싱, 알고 대비하면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0) | 2024.07.11 |
욕실 곰팡이 예방을 위한 유용한 팁! (0) | 2024.07.11 |
여름철 건강한 실내를 위한 선풍기 청소법 (0) | 2024.07.11 |
식중독의 주요 증상과 예방 요령 (0) | 2024.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