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전에는 인터페이스의 기본 개념과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좀 더 심화된 주제로, 인터페이스의 '강제성 소멸'과 '장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을 통해 인터페이스를 더 깊이 이해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배워가실 수 있길 바랍니다.
인터페이스의 강제성 소멸: Adapter 패턴
우선, 인터페이스를 바로 클래스에 지정하게 되면, 모든 메소드를 구현해야 하는 강제성이 생깁니다. 하지만 실제 프로그래밍에서는 인터페이스의 모든 메소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 메소드는 필요하지 않거나, 다른 방식으로 구현할 필요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패턴이 바로 'Adapter 패턴'입니다. 이 패턴을 사용하면, 인터페이스의 메소드 중 필요한 메소드만 골라서 구현할 수 있게 됩니다.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먼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Adapter 클래스'를 만듭니다. 이 클래스에서는 인터페이스의 모든 메소드를 구현합니다. 하지만 이 메소드들은 실제 작동하는 로직이 없거나 기본적인 로직만을 가지고 있습니다.
- 그 다음, 실제 사용할 클래스에서는 이 Adapter 클래스를 상속받습니다. 이렇게 하면, 인터페이스의 메소드 중 필요한 메소드만 재정의(override)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이를 통해 인터페이스의 강제성을 해결하고, 필요한 부분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이를 코드로 보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 인터페이스 정의
interface MyInterface {
void method1();
void method2();
void method3();
}
// Adapter 클래스 정의
class MyAdapter implements MyInterface {
public void method1() {}
public void method2() {}
public void method3() {}
}
// 실제 사용할 클래스
class MyClass extends MyAdapter {
@Override
public void method1() {
System.out.println("Method1 Override");
}
}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yClass myClass = new MyClass();
myClass.method1(); // "Method1 Override" 출력
myClass.method2(); //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음
myClass.method3(); //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음
}
}
위 예시코드는 인터페이스의 강제성을 해소하는 방법인 Adapter 패턴을 보여줍니다. MyInterface 인터페이스의 모든 메소드를 빈 몸체로 구현한 MyAdapter 클래스를 정의하였고, MyClass에서는 MyAdapter를 상속받아 필요한 method1만을 재정의하였습니다. 이렇게 Adapter 패턴을 이용하면, 인터페이스의 모든 메소드를 구현하지 않고 원하는 메소드만 선택적으로 오버라이드할 수 있습니다.
인터페이스의 장점
그렇다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어떤 장점이 있는지 알아봅시다.
- 코드의 유연성
인터페이스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코드의 '유연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입니다. 인터페이스는 선언과 구현을 분리하므로, 변경이 필요한 경우 구현부만 바꾸면 됩니다. 따라서 변경에 더 쉽게 대응할 수 있고, 코드 유지 보수가 용이해집니다.
- 관계 없는 클래스들을 연결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서로 관계가 없는 클래스들도 연결할 수 있습니다. 이를 '마커 인터페이스'라고 부르는데, 인터페이스가 가진 메소드 없이 클래스에 특정한 속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클래스에게 추가적인 역할이나 책임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 다중상속의 이점을 취할 수 있음
마지막, 자바는 다중 상속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즉, 한 클래스가 두 개 이상의 클래스를 상속받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인터페이스를 이용하면, 여러 개의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구현함으로써 다중 상속의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interface Interface1 {
void method1();
}
interface Interface2 {
void method2();
}
// MyClass는 Interface1과 Interface2를 동시에 구현
class MyClass implements Interface1, Interface2 {
public void method1() {
System.out.println("Method1 from Interface1");
}
public void method2() {
System.out.println("Method2 from Interface2");
}
}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yClass myClass = new MyClass();
myClass.method1(); // "Method1 from Interface1" 출력
myClass.method2(); // "Method2 from Interface2" 출력
}
}
위 코드에서 MyClass는 Interface1과 Interface2를 동시에 구현하므로, 두 인터페이스의 모든 메소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중 상속과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인터페이스는 자바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입니다. 인터페이스를 이해하고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코드의 유연성을 높이고 재사용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인터페이스의 강제성을 해소하는 Adapter 패턴을 이용하면, 보다 효과적인 코드 설계가 가능합니다.
'개발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에서의 다중상속 (0) | 2023.07.19 |
---|---|
Java의 추상 클래스와 인터페이스의 차이 (0) | 2023.07.18 |
Java에서의 인터페이스 (Interface) (0) | 2023.07.18 |
Java에서의 추상 클래스와 추상 메소드 (0) | 2023.07.18 |
Java에서의 Private 접근 제어자와 Getter/Setter 메서드 (0) | 2023.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