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전 포스트에서는 조건문인 if와 switch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반복문 중 for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반복문
반복문은 특정한 코드나 행위를 반복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문장입니다. 반복문은 조건에 의해 반복되는 경우와 횟수에 의해 반복되는 경우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조건에 의한 반복문: while, do while
횟수에 의한 반복문: for
이번 포스트에서는 횟수에 의한 반복문인 for문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for문
for문은 특정한 횟수만큼 코드를 반복 실행할 때 사용합니다. 반복 횟수가 명확하거나, 값이 일정하게 변하는 반복일 경우 주로 사용됩니다.
기본적인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for (초기식; 조건식; 증감식) {
// 반복할 코드
}
예를 들어, "안녕"을 10번 출력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작성할 수 있습니다:
for (int i = 0; i < 10; i++) {
System.out.println("안녕");
}
for문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동작합니다:
- 초기식에서 변수를 초기화합니다. 이 값은 반복문이 시작할 때 한번만 수행됩니다.
- 조건식을 평가해 true이면 반복을 계속하고, false면 반복을 종료합니다.
- 조건식이 true일 경우, 블록 안의 코드를 실행합니다.
- 코드 실행 후, 증감식을 통해 변수를 업데이트합니다.
- 다시 조건식을 평가하고 이를 반복합니다. 조건식이 false가 되면 for문을 빠져나갑니다.
실제 예제로 보면,
String name = "김사과";
for (int i = 0; i < 10; i++) {
System.out.print(i+1 + name);
if (i != 9) System.out.print(", ");
}
위 코드는 "김사과"라는 이름을 10번 출력하되, 앞에 1부터 10까지 번호를 붙여서 출력합니다.
break와 continue
또한, 반복문에서는 break와 continue라는 키워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break: 현재 실행 중인 반복문을 바로 종료합니다. 중첩된 반복문이 있을 경우, break가 속한 가장 가까운 반복문만 종료합니다.
for (int i = 1; i <= 10; i++) {
if (i == 5) {
break; // i가 5가 되면 for문을 바로 종료합니다.
}
System.out.println(i); // 1부터 4까지 출력하고 종료합니다.
}
위 코드에서는 break를 사용하여 i가 5가 되면 for문을 바로 종료하도록 했습니다. 그래서 출력은 1부터 4까지만 되고 그 이후로는 출력되지 않습니다.
- continue: 현재 실행 중인 반복문의 나머지 부분을 건너뛰고 다음 반복을 진행합니다.
for (int i = 1; i <= 10; i++) {
if (i % 2 == 0) {
continue; // i가 짝수일 때 for문의 나머지 부분을 건너뜁니다.
}
System.out.println(i); // 따라서, 1, 3, 5, 7, 9만 출력합니다.
}
위 코드에서는 continue를 사용하여 i가 짝수일 때는 출력을 건너뛰도록 했습니다. 그래서 출력은 홀수인 1, 3, 5, 7, 9만 되고 짝수는 출력되지 않습니다.
이렇게 for문을 이용하면 특정 코드를 원하는 횟수만큼 반복할 수 있습니다. 다음 포스트에서는 while문과 do while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개발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에서의 배열: 기초 (0) | 2023.07.13 |
---|---|
Java의 제어문: while문 (0) | 2023.07.13 |
Java의 제어문: switch문 (0) | 2023.07.12 |
Java의 제어문: if문 (0) | 2023.07.12 |
Java에서의 형변환: Type Casting (0) | 2023.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