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각각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려면, 그 형태와 크기에 맞는 적절한 데이터 타입을 선택해야 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Java의 기본 데이터 타입에 대해 알아봅시다.
정수형 (Integer Type)
정수형 데이터 타입에는 byte, short, int, long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모두 정수를 표현할 때 사용되며, 차이점은 표현할 수 있는 수의 범위와 메모리 사용량입니다.
byte: 메모리를 가장 적게 사용하는 정수형 데이터 타입입니다. -128부터 127까지의 정수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int: Java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정수형 데이터 타입입니다. 약 -21억부터 21억까지의 정수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실수형 (Floating-Point Type)
실수형 데이터 타입에는 float와 double이 있습니다. 이들은 소수점을 가진 숫자를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float: 32비트 실수형 데이터 타입으로, 약 -3.4E38부터 3.4E38까지의 실수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실수를 표현할 때 'F'나 'f'를 뒤에 붙여 표기합니다(예: 1.23F).
double: 64비트 실수형 데이터 타입으로, 약 -1.7E308부터 1.7E308까지의 실수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Java에서는 실수의 기본 타입이 double입니다.
문자형 (Character Type)
문자형 데이터 타입에는 char가 있습니다. char는 하나의 문자를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유니코드 문자를 표현하므로, 'a'부터 'z', 'A'부터 'Z', '0'부터 '9'까지, 그리고 한글 등도 표현할 수 있습니다.
문자열 (String)
문자열은 기본 데이터 타입은 아니지만, 매우 자주 사용되므로 여기서 언급하겠습니다. String은 여러 개의 문자를 묶어서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아래 코드는 데이터타입 예시코드 입니다
public class DataType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정수형
byte byteVar = 10;
int intVar = 100;
System.out.println("byteVar: " + byteVar);
System.out.println("intVar: " + intVar);
// 실수형
float floatVar = 1.23F;
double doubleVar = 4.56;
System.out.println("floatVar: " + floatVar);
System.out.println("doubleVar: " + doubleVar);
// 문자형
char charVar = 'A';
System.out.println("charVar: " + charVar);
// 문자열
String stringVar = "Hello, Java!";
System.out.println("stringVar: " + stringVar);
}
}
이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출력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byteVar: 10
intVar: 100
floatVar: 1.23
doubleVar: 4.56
charVar: A
stringVar: Hello, Java!
이처럼, Java에는 다양한 데이터 타입이 있습니다. 각각의 데이터 타입은 자신의 특성에 맞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알맞은 데이터 타입을 선택함으로써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코드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개발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프로그래밍 기초: 연산자(Operator) - 2 (0) | 2023.07.12 |
---|---|
Java 프로그래밍 기초: 연산자(Operator) - 1 (0) | 2023.07.12 |
Java 프로그래밍 기초: 변수(Variable) (0) | 2023.07.11 |
Java 시작하기: 기본 구조와 코드 작성 가이드 (0) | 2023.07.11 |
Java 시작하기: JDK 11버전 및 IDE 설치 가이드 (0) | 2023.07.11 |